연중 제6주일 다해
본문
연중 제6주일 다해 - 행복하여라, 가난한 사람들!
복음 말씀은 유명한 참된 행복 선언이다. 이 세상에서 가난하거나 굶주리거나 울거나 미움받는 이들은 불행해 보이는데 예수께서는 그들이 행복하다고 선언하신다. 이와 반대로 지금 부자이거나 배부르고 웃고 칭찬받고 있다면 이미 받을 복을 다 받은 것이기에 불행하다고 말씀하신다. 현실과 동떨어져 보이는 이 말씀을 어떻게 알아들어야 하나?
먼저 말씀하신 배경을 살펴보자. "온 유다와 예루살렘, 그리고 티로와 시돈의 해안 지방에서 온 백성이 큰 무리를 이루고 있었”던 상황이 말씀의 배경이다. 이 상황에서 “예수님께서 눈을 들어 제자들을 보시며 말씀하셨다”고 복음은 전한다. 행복 선언의 의미를 파악하는 열쇠를 당신을 찾아온 사람들을 바라보시는 예수님의 눈길에서 찾아본다.
예수님 주변의 사람들을 보자. 그들은 말씀을 듣기 위해, 혹은 병을 고치기 위해 예수님의 옷자락이라도 한 번 만지려고 이스라엘 전 지역에서 모여든 사람들이었다. 예수님은 그들에게서 무엇을 보셨을까? 무엇으로도 채울 수 없는 목마름을 보셨으리라. 생업을 버려둔 채 먼 길을 떠나야 했던 절박한 정신적 굶주림을 보셨으리라. 울고 또 울어도 계속 흘러내리는 사람들의 눈물을 애통한 마음으로 보셨으리라. 사랑하며 화목하게 살고자 하는 바람과는 반대로 미움과 저주로 가득 찬 인생의 한계와 질곡을 보셨으리라.
그 아픔을 안고 당신을 찾아온 이들을 바라보시며 예수께서 당신들은 행복하다고 선언하신다. 그들의 가난과 굶주림은 하느님을 찾아 나서는 동력이 되었다는 점을 예수께서는 보고 계시다. 그들의 눈물과 서러움은 소외와 절망을 넘어서서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신 분을 만나려는 힘이라는 점을 주님께서는 보고 계시다. 그들에게 가난과 눈물은 삶의 뿌리를 하느님께 내리는 계기가 되었다. 가난과 굶주림, 눈물과 설움은 그 자체가 행복의 조건은 아니지만 예수님을 찾아 나서게 이끄는 힘이 될 때 행복을 가져온다. 가난하고 굶주리고 지금 우는 사람들이 예수님을 만나서 진리의 말씀을 듣고 거기서 길을 찾아 생명의 근원을 마주하기에 행복하다. 그러기에 첫 독서에서 예레미야는 나라가 망하고 종으로 끌려갈 절망적 상황에 놓인 이들에게 “그의 신뢰를 주님께 두는 이는 복되다. 물가에 심긴 나무와 같아” 참으로 행복하다는 말씀을 전한다.
이어서 지금 배부르고 웃고 칭찬받으며 주님 없이 만족한 부자들은 불행하다고 선언하신다. 이들은 가진 것이 넉넉하고 거기에 의지하기에 영적으로나 육적으로 배고프지 않고 목마르지 않은 이들이다. 이들은 세상 이치를 다 안다고 자부하기에 진리이신 예수님을 찾아 나설 필요가 없어진 이들이다. 사람이나 재물에 삶의 뿌리를 내린 이런 사람들을 보고 예레미야가 예언하였다: “사람에게 의지하는 자와 스러질 몸을 제 힘인 양 여기는 자는 저주를 받으리라. 그의 마음이 주님에게서 떠나 있다. 그는 광야의 메마른 곳에서, 인적 없는 소금 땅에서 살리라”(제1독서).
무슨 근거로 그렇게 단정 지어 이야기할 수 있을까? 사도 바오로가 둘째 독서에서 분명히 선언하신다: “우리가 현세만을 위하여 그리스도께 희망을 걸고 있다면, 우리는 모든 인간 가운데에서 가장 불쌍한 사람일 것입니다. 그러나 이제 그리스도께서는 죽은 이들 가운데에서 되살아나셨습니다.” 현세의 물질은 육체의 죽음과 함께 없어지지만, 죽은 이들 가운데 되살아나신 그리스도께서는 없어지지 않으시고 영원히 살아계시다. 죽음에서 부활하신 예수님과의 만남은 죽음으로 끝나는 인생이 아닌 새로운 세상, 영원한 세상을 열어준다. 그러기에 그리스도를 만나게 하는 가난과 눈물, 굶주림과 배척당함이 행복의 출발점이 된다.
우리 자신을 살펴보자. 재물로 채울 수 없는 삶의 의미와 목적을 찾고 있다면 우리는 복음의 "가난한 사람들"이다. 산해진미로 채울 수 없는 영적 배고픔이 있다면 우리는 복음의 "굶주린 이들"이다. 무엇으로 위로받을 길 없는 서러운 눈물, 누구한테도 털어놓을 수 없는 배척 받는 아픔이 있다면 우리는 복음의 "지금 우는 사람들"이다. 예수님은 그런 우리에게, 그 어떤 사람도 아니고 그 어떤 물건도 아닌, 하느님과의 만남에서 행복을 갈망하기에 행복하다고 선언하신다.
복음의 진정 가난한 이는 바로 예수님 자신이셨다. 세상의 무엇에도 의지하지 않고 아버지이신 하느님께만 의지하심으로 행복하신 분이셨다. 이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분으로서 하느님 나라를 우리에게 가져다주신다. 그러기에 우리를 그 큰 행복, 당신의 행복인 가난한 사람의 행복으로 우리를 초대하신다.
지금 삶이 무의미해서 가난한가? 예수님께 다가가 그분께 의지할 때다. 지금 채워지지 않은 갈망에 배고픈가? 예수님께서 내어 주시는 그리스도의 몸을 받아 모실 때다. 지금 누구도 이해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삶이 서러워 울고 싶은가? 이불 속이 아닌 예수님 앞에 나아가 말씀에 귀를 기울일 때다. 그때 주님께서 이르실 것이다.
"행복하여라, 가난한 사람들! 하느님의 나라가 너희 것이다. 행복하여라, 지금 굶주리는 사람들! 너희는 배부르게 될 것이다. 행복하여라, 지금 우는 사람들! 너희는 웃게 될 것이다. 사람들이 너희를 미워하면, 그리고 사람의 아들 때문에 너희를 쫓아내고 모욕하고 중상하면, 너희는 행복하다! "
[출처] 말씀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