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회원가입  |   로그인  |   오시는 길
우리는 교회의 가르침에 따라 이 세상에 정의와 평화를 가져오도록 노력한다.
(말씀의 길 회헌 47조 참조)
말씀의 숲
영성의 향기 말씀의 향기 수도원 풍경 세상.교회의 풍경 기도자리
말씀의 향기

주님 공현 대축일 전 화(1월 3일) - 보라, 세상의 죄를 없애시는 하느님의 어린양

작성자 : 말씀의성모영보수녀회   작성일: 23-01-03 09:19   조회: 3,223회

본문


주님 공현 대축일 전 화(1월 3일) - 보라, 세상의 죄를 없애시는 하느님의 어린양

 
"여러분도 알다시피, 그분께서는 죄를 없애시려고 나타나셨던 것입니다." (독서)

"보라, 세상의 죄를 없애시는 하느님의 어린양이시다." (복음)

독서와 복음 모두 예수님을 일컬어 세상의 죄를 없애시는 분이라고 천명한다.

죄 많은 세상에서 죄로 얼룩진 삶을 살아갈 수밖에 없는 것이 인간 현실이다.

어떻게 세상의 죄, 내 안의 죄, 얽히고설켜서 계속 이어지는 이 어두운 죄가 씻어질 수 있을까?

흔히 구별과 단죄, 고발과 처벌로 죄를 없애려고 시도하지만 그로써 정화가 가능할까?

구약 전승에서 '어린양'이란 사람들의 죄를 뒤집어쓰고 대신 죽는 속죄제물(탈출 12,1-28) 이자,

죄가 없으면서도 많은 사람의 죄를 대신하여 희생하는 '주님의 고통받는 종'의 표상(이사 52,13 - 53,12) 이었다.

이처럼 어린양은 죄를 지을 때마다 바치던 제물이었는데, 예수님이 하느님의 어린 양이라고 요한은 선포한다.

구약에서 죄를 지을 때마다 속죄 제물로 바친 어린양, 속죄양은

단 한 번의 예수님의 희생으로 모든 죄를 씻게 된 참된 어린양의 예표였다.

하느님이 사람이 되시어 예수님은 인간의 죄악을 모두 뒤집어쓰고 죄 사함의 세례를 받으셨다.

그리고 죄와 고통과 어둠의 절정인 죽음을 받아들여 어린양이 되셨다.

그것이 하느님께서 선택하신 세상의 죄를 없애시는 길이었다.

요한 세례자는 이 어린양을 알아보고 우리에게도 "보라!"라고 외친다.

우리 가운데 계신 분, 세상의 죄를 없애시는 하느님의 어린 양을 어떻게 알아볼 것인가?

인간에 대한 사랑으로 어린 양이 되신 하느님을 뵈올 길은 그분이 가신 길인 사랑이리라.

"사랑할 수 있는 그만큼 여러분은 이 지상에서 하느님을 뵙게 될 것입니다." (성 아우구스티누스)


[출처]  말씀에




해뜨는 마을 l 영보자애원 l 영보 정신요양원 l 천안노인종합복지관
교황청 l 바티칸 뉴스 lCBCK 한국천주교주교회의
한국 천주교 여자수도회 l 한국 천주교 주소록 l 수원교구
우. 13827 경기 과천시 문원청계길 56 말씀의성모영보수녀회
56 MunwonCheonggyegill Gwachon-si Gyeonggi-do TEL : 02-502-3166   FAX : 02-502-8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