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중 제20주간 수 - 내가 후하다고 해서 시기하는 것이오?
본문
연중 제20주간 수 - 내가 후하다고 해서 시기하는 것이오?
"맨 나중에 온 저자들은 한 시간만 일했는데도,
뙤약볕 아래에서 온종일 고생한 우리와 똑같이 대우하시는군요."
이 비유에서는 두 세계가 충돌한다.
주인에게 항의하는 사람들이 속한 현실적이고 냉정한 옛 세계가 있다.
논리적이고 가시적인 이 세계에서는 모두 자신만을 위해 산다.
누군가 더 가지면 시기하고, 덜 가지면 무시하고, '위'와 '아래'가 끊임없이 충돌한다.
대개 동일한 사회적 처지에 속한 이들 사이에 오히려 더 심한 경쟁이 지배한다.
"내가 후하다고 해서 시기하는 것이오?"
옛 세계 속으로 갑자기 뚫고 들어온 하느님의 세계를 예수님은 비유로 말씀하신다.
하느님의 세계는 베짱이의 나라가 아니지만,
아무도 더 이상 저녁에 가족의 생계에 대한 근심과 두려움을 안고 집으로 돌아가지 않는다.
가시적이고 논리적인 세계를 넘어선 이 세계는
혼자가 아닌 세계, 경쟁 없는 삶이 가능한 하느님의 세계다.
자신이 원하는 모든 것보다 더 크고 더 넓은 것이 있기 때문이다.
하느님의 것을 위해 일하는 공동의 세 세상이 연대를 만들어 낸다. (G. Lohfink, 예수마음코칭)
"꼴찌가 첫째 되고 첫째가 꼴찌 될 것이다."
처음의 꼴찌란 재능이든 외모든 건강이든 지위든 남 앞에 도무지 내세울 것이 없는 이들,
남들 뒷전에 겨우 끼어있는 이들, 그래도 주님을 떠나지 않는 이들이다.
남들 앞이 아니라 주님 앞에 서있는 이들, 주님 앞에 점점 작아져 바늘구멍을 통과하는 이들,
당신과의 만남이 중요하여 옆 사람과 비교할 틈 없이 당신만 바라보는 어린이 같은 이들이다.
이들이 바라보는 주님은 모든 것이 지나가도 늘 함께 계시기에
새로운 세계, 하느님의 세계에서는 이 사람들이 첫째가 된다는 말씀으로 들린다.
[출처] 연중 제20주간 수 - 내가 후하다고 해서 시기하는 것이오?|작성자 말씀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