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회원가입  |   로그인  |   오시는 길
우리는 교회의 가르침에 따라 이 세상에 정의와 평화를 가져오도록 노력한다.
(말씀의 길 회헌 47조 참조)
말씀의 숲
영성의 향기 말씀의 향기 수도원 풍경 세상.교회의 풍경 기도자리
말씀의 향기

연중 제12주간 월 - 남을 심판하지 마라

작성자 : 말씀의성모영보수녀회   작성일: 25-06-23 08:43   조회: 180회

본문

연중 제12주간 월 - 남을 심판하지 마라

 

"남을 심판하지 마라. 그래야 너희도 심판받지 않는다."

 

말씀은 좋지만 실천하기란 참으로 어려운 말씀이다.

빵집에서 빵을 훔친 행위는 절도 죄이지만, 굶어 죽는 자식을 살리기 위한 사랑이 그 속에 있고,

교통신호를 위반한 것이 범법행위일지라도, 응급환자를 살리기 위한 노력일지 모르는데,

그 죄를 탓하기 앞서 우리는 죄지은 인간에 대하여 심판부터 한다.

왜 그렇게 우리는 인간을 판단할까? 어떻게 이 악순환의 고리를 끊을까?

 

"우리가 타인을 판단하거나, 심판하거나, 단죄하는 현실의 감옥에서 해방되는 길은

우리의 정체성이 어디에 기반을 두고 있는지에 달려있다.

만일 정체성의 기반을 자신이 성취한 힘이나 남들이 인정하는 평가에 두고 있다면

남을 판단하고 남으로부터 판단 받는 사슬에서 해방될 수 없을 것이다.

그러나 정체성의 기반을 하느님의 사랑에 둘 때 심판의 사슬이 끊기고 두려움이 없어진다.

하느님 사랑을 체험한 이는 남에 대한 판단에 앞서 연민의 눈을 지니기에

타인으로부터 판단 받는 두려움에서 해방되는 동시에

타인을 심판해야 하는 압박감에서도 풀려나게 된다.

결국 남을 판단하지 않는 이는 남으로부터도 판단 받지 않는다는 진리는

하느님 사랑과 이웃 사랑처럼 함께 연결되어 있다." (J.H. Nouwen, Vivere nello spirito)

 

"먼저 네 눈 속에서 들보를 빼내어라.

그래야 네가 뚜렷이 보고 형제의 눈에서 티를 빼낼 수 있을 것이다."

 

내 눈 속의 들보는 내 입장에서 남을 보고 심판하는 본능, 자기 투사 행위일 것이다.

내 눈에 비친 타인이 나의 투사임을 깨닫는 것이 내 눈 속의 들보를 빼는 첫걸음 아닐까?

타인이나 세상을 나의 투사를 통해 보는 데서 하느님 사랑으로 보는 전환,

정체성의 기준과 보는 방식의 전환, 나에게서 하느님으로의 전환을 이르시는 말씀으로 들린다.

 

[출처] 말씀에

해뜨는 마을 l 영보자애원 l 영보 정신요양원 l 천안노인종합복지관
교황청 l 바티칸 뉴스 lCBCK 한국천주교주교회의
한국 천주교 여자수도회 l 한국 천주교 주소록 l 수원교구
우. 13827 경기 과천시 문원청계길 56 말씀의성모영보수녀회
56 MunwonCheonggyegill Gwachon-si Gyeonggi-do TEL : 02-502-3166   FAX : 02-502-8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