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중 제16주일 나해 - 외딴곳으로 가서 좀 쉬어라
본문
연중 제16주일 나해 - 외딴곳으로 가서 좀 쉬어라
세상 사람들은 누구나 평화롭게 살기를 바랍니다. 하지만 마음대로 되지 않을 때가 많습니다. 그 이유 중 하나는 지도자를 잘못 만나는 경우입니다. 첫 독서에서 예레미야 예언자는 이렇게 전합니다. "불행하여라, 내 목장의 양 떼를 파멸시키고 흩어 버린 목자들! 너희는 내 양 떼를 흩어 버리고 몰아냈으며 그들을 보살피지 않았다." 여기서 목자들이란 하느님을 대신하여 나라 돌보라고 세운 왕들입니다. 이 왕들이 하느님이 원하시는 정의와 공정을 저버린 결과, 나라는 망하고 백성은 타국에 끌려가 종살이를 하게 되었습니다.
예레미야는 이 상황에서 하느님께서 새로운 목자를 세워주실 것을 예언합니다. "그날"이 오면 사람들이 유배에서 돌아와 "고향에서 살게 된다"는 희망찬 약속입니다. 실제로 나라가 망하고 유배길에 오른 유다인들은 60년 후에 고향으로 돌아왔습니다. 그러나 그들이 기대한 정의로운 왕은 나타나지 않았고, 주권을 잃고 식민지가 된 나라에는 이전보다 더한 착취와 차별과 불의가 만연했습니다. 예레미야가 예언한 "그날"은 언제 오고, 정의와 공정을 이루는 목자는 누구일까요?
오늘 복음은 예수님의 일상을 전합니다. 제자들이 사람들을 돌보느라 음식을 먹을 시간도 없을 정도로 바쁘자, 예수님은 제자들과 함께 "외딴곳으로 가서" 쉬려고 하셨습니다. 하지만 그곳에 이미 와서 기다리는 사람들을 보시고 "가엾은 마음이 드셨다. 그들이 목자 없는 양들 같았기 때문이다."라고 전합니다. 잘못된 목자도 문제이지만, 목자가 없는 것도 큰 문제입니다. 목자가 없으면 양들은 길을 잃고, 불안 속에 흩어지며, 들짐승의 위험에 노출됩니다. 목자 없는 양들은 누구일까요? 살아갈 방향을 잃고 마음의 양식과 힘과 위로를 얻지 못한 채 위험에 노출된 사람들 아닐까요? 예수님은 그들을 가엾게 보시고 목자가 되어 주셨습니다.
예수님은 어떻게 목자가 되었을까요? 바오로 사도는 둘째 독서에서 이렇게 전합니다. "그리스도는 우리의 평화이십니다. 그분께서는 당신의 몸으로 유다인과 이민족을 하나로 만드시고 이 둘을 가르는 장벽인 적개심을 허무셨습니다. 그렇게 하여 당신 안에서 두 인간을 하나의 새 인간으로 창조하시어 평화를 이룩하시고, 십자가를 통하여 양쪽을 한 몸 안에서 하느님과 화해시키시어, 그 적개심을 당신 안에서 없애셨습니다." 우리의 목자이신 예수님은 정치 체제를 변혁시켜 강한 나라를 만드신 분이 아니며, 경제 제도를 개선하여 사람들을 부자로 만들어 주신 분도 아닙니다. 그분은 당신의 희생으로 적대적이었던 사람들을 하나로 일치시킨 목자입니다. 십자가에서 죽으심으로 모든 장벽을 없애고, 원수 같던 사람들을 하나로 묶어 하느님께 나아가게 하신 참 목자입니다. 그러므로 그리스도는 우리의 평화입니다.
성인이 되신 요한 바오로 2세 때의 실화입니다. 미국의 한 주교가 로마에서 교황님을 만나러 가다가 구걸하는 거지를 만났습니다. 그 거지는 주교가 학생 때 로마에서 함께 공부했던 동료였으나, 알코올 중독에 빠져 노숙자가 된 사제였습니다. 주교를 만난 거지 사제는 황급히 자리를 떴습니다. 그 주교는 교황님을 뵙는 자리에서 거지 사제를 만난 일을 말씀드렸습니다. 그러자 교황님은 "주교님, 죄송하지만 한 번 더 그곳에 가셔서 그 사제를 제게 모시고 와 주십시오."라고 부탁했습니다. 이튿날, 주교는 사정사정해서 거지 사제를 교황께 데려갔습니다. 교황님은 거지 사제를 보자 무릎을 꿇으며 "신부님에게 고해성사를 청합니다."라고 말했습니다. 당황한 사제는 "저는 사제로서의 모든 권한을 잃어버린 지 오래입니다. 따라서 고해성사를 드릴 수 없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교황님은 "제가 로마 주교로서 지금 이 자리에서 신부님께 사제로서의 모든 권한을 드립니다. 제게 고해성사를 주십시오." 무릎을 꿇은 교황에게 고해성사를 주는 거지 사제의 눈에서 눈물이 흘렀습니다. 교황님의 고해성사가 끝나자, 이번에는 거지 사제가 교황님 앞에 꿇어 고해성사를 청했습니다. 사제의 고해성사가 끝나자 교황님은 그가 구걸하며 살던 동네의 이름을 묻고, 그 사제를 그 동네의 지도신부로 임명했습니다. 그는 거리의 부랑아들과 거지들을 돌보며 여생을 사제로서 충실히 살았습니다.
요한 바오로 2세는 타락한 사제를 예수님의 눈길로 보았고, 그 사제는 교황님의 눈길에서 자신을 가엾이 보시는 그리스도를 만났습니다. 이로써 서로가 서로 안에서 그리스도를 체험한 것입니다. 그리스도가 두 사람 사이의 장벽을 허물고 하나로 묶어 참 평화를 주셨습니다. 그 사제는 자신이 구걸하던 거리의 목자 없는 양들을 찾아 나섰습니다.
우리 삶에서 한심해 보이는 자녀, 노쇠한 부모, 게으른 남편, 속 좁은 아내, 부족한 동료나 이웃도 예수님의 눈으로 보면 가엾고 불쌍한 사람입니다. 그리스도의 눈으로 그들에게 먼저 손을 내밀면, 그들도 우리에게서 그리스도의 눈길을 만날 수 있습니다. 그러면 차별과 갈등의 장벽이 무너지고 평화를 누리게 됩니다. 서로가 서로에게 그리스도가 되면 평화가 옵니다. 새로운 삶을 시작하는 "그날"은 그렇게 다가옵니다.
무더위와 긴 장마 속에 경제적으로나 집안일이나 다들 힘들다고 합니다. 사는 데 지친 우리에게 오늘도 예수님은 말씀하십니다. "따로 외딴곳으로 가서 좀 쉬어라." "외딴곳"이 어딜까요? 그곳은 나를 측은히 바라보시는 예수님을 만나는 곳이자, 예수님이 보시는 나 자신을 발견하는 곳입니다. 자신의 부족함을 발견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를 가엾이 여기시는 예수님을 만나는 곳입니다. 그곳에서 만난 그리스도의 눈길을 가슴에 담고, 그 눈길로 자신과 이웃을 다시 바라보라고 주님이 우리를 초대하십니다. 이렇게 자기 생각만 하던 울타리를 허물고, 서로를 받아들여 하나가 되는 곳이 주님께서 말씀하신 "외딴곳"입니다. 우리도 그 외딴곳으로 가서 참 목자이신 그리스도께서 주시는 평화를 누립시다.
[출처] 말씀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