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중 제18주간 월 - 하늘을 우러러 찬미를 드리신 다음
본문
연중 제18주간 월 - 하늘을 우러러 찬미를 드리신 다음
"예수님께서는 많은 군중을 보시고 가엾은 마음이 드시어...
빵 다섯 개와 물고기 두 마리를 손에 들고, 하늘을 우러러 찬미를 드리신 다음. 나눠 주시니.." (복음)
예수님 시대처럼 굶주리고 아파하는 사람들은 여전히 많다.
억울함, 고뇌, 분노, 아픔을 호소하는 사람들의 굶주림을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예수님은 빵을 나눠주시기에 앞서 군중을 보시고 가엾은 마음이 드셨다고 한다.
인간을 측은히 여기시는 마음이 먹여 살리는 출발점이었다
그 마음으로 예수님은 빵 다섯 개와 물고기 두 마리를 손에 들고 하늘을 우러러 찬미와 감사를 드리신다.
이 모습, 곧 감사 기도에 사람들을 먹일 비밀이 담겨있다(초대교회에서 미사를 감사제라고 불렀다).
성경의 "감사 Eucharistia"라는 단어의 어원은 "선물에 대한 응답(thanksgiving)"이다.
이는 어떤 사실을 "다시 아는 행위"로 이루어 진다.
고마운(thanks) 어떤 일이 하느님의 선물(giving) 임을 다시 아는 것이 감사의 본 뜻이다.
오천 명이 먹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빵 다섯 개와 물고기 두 마리처럼,
세상살이를 위해서는 턱없이 부족한 내 수입, 내 능력 등을 보며 실망하거나 무기력해질 수 있다.
그러나 이렇게 부족하지만 하느님의 사랑이 내 삶에 담겨 있음을 "다시 알고",
"하늘을 우러러 찬미를 드릴 때" 세상을 보는 내 눈이 새로워진다.
밥 한 그릇을 놓고 그 속에 농부의 땀방울과 햇살과 바람과 장맛비와 아침 이슬과 별빛이 담겼음을 보고,
이 모든 것이 거저 받은 선물임을 다시 알며 하늘을 우러러 감사를 드리면,
하늘과 통한 나의 마음은 이 축복을 이웃과 나누게 한다.
물고기든 빵이든, 아픔이든 기쁨이든 감사하며 나눌 때 기적이 일어난다.
오천 명이 배를 채우고 남았듯, 감사와 나눔은 우리로 하여금 힘을 얻고 다시 일어나게 된다.
[출처] 말씀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