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림 제1주간 목- 자기 집을 반석 위에 지은 슬기로운 사람
본문
대림 제1주간 목- 자기 집을 반석 위에 지은 슬기로운 사람
"너희는 길이길이 주님을 신뢰하여라. 주 하느님은 영원한 반석이시다." (독서)
"나의 이 말을 듣고 실행하는 이는 모두 자기 집을 반석 위에 지은 슬기로운 사람과 같을 것이다.
그러나 나의 이 말을 듣고 실행하지 않는 자는 모두 자기 집을 모래 위에 지은 어리석은 사람과 같다." (복음)
쉬운 길, 편하고 이득 되는 길을 찾기에 급급한 세상이다.
모래 위에 집 짓기는 반석 위에 집 짓기보다 쉽다.
그런데 집을 왜 짓는가?
안전하고 튼튼한 삶의 터전을 마련하고, 거기서 비롯되는 평화를 누리기 위해서 아닌가?
안전하고 튼튼한 집을 지을 비법은 집 짓는 바탕에 달렸고,
"영원한 반석"이신 하느님에게 집의 바탕을 두라고 독서와 복음 말씀은 우리를 초대한다.
집을 짓는 과정은 신앙인의 삶을 꾸려나가는 과정으로 볼 수 있다.
그 과정에서 반석이나 모래는 어떤 의미이고, 비바람에 집이 무너진다는 것은 무슨 뜻일까?
요한 크리소스토무스 교부의 해석이 깊은 울림을 준다.
"그리스도 안에 뿌리를 둔 사람은
어떤 것에 의해서도, 폭풍우에 의해서도 홍수에 의해서도 상처받지 않는다.
내가 만약 예수님의 말씀을 기초로 내 집을 지으면,
나에 대한 사람들의 판단이나 태도가 아니라 예수님을 토대로 나를 정의한다면
(예수님 보시기에 어떠실까? 하는 기준으로 나를 정의하고 내 생활을 평가한다면)
다른 사람들이 무의식적으로 나에게 던지는 모욕과 투사도 나에게 상처를 줄 수 없다.
그와 반대로 모든 이들의 인정과 사랑을 받는다는 환상 위에 집을 지으면,
한 사람이 나에게 상처를 주거나 아프게 하는 즉시 무너질 것이다.
복음 말씀은 내 집이 다른 사람들이 주는 상처에도 무너지지 않고
견고하게 서 있을 수 있는 진정한 토대를 보여 주신다.
그 토대는 내가 조건 없이 사랑받는 하느님의 아들이나 딸이라는 사실이다.
내가 만약 이 반석 위에 집을 지으면 내 인생은 성공할 것이다.
사람들이 나에게 아무리 많은 상처를 준다 해도 내 집은 무너지지 않을 것이다."
(A. 그륀, 예수, 구원의 스승, 69-70에서 재인용)
내적으로 자신의 뿌리를 '그리스도 안에' 두고,
외부의 비바람을 '그리스도 안에서' 받아들이며,
'그리스도 안에서' 하느님을 찬미하라는 초대로 말씀이 다가온다.
[출처] 말씀에